06월02일sun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 IT.과학 > 과학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자동차 안전기술 ' 장기적, 자율주행차와도 연결'
졸음운전 경고하고 충돌 전 스스로 제동
등록날짜 [ 2017년07월16일 10시50분 ]

[연합시민의소리]16일 자동차업계는 승용차 주행안전기술의 경우 2010년대 초반까지는 고가의 센서를 다수 장착해야 하는 탓에 주로 고급차를 중심으로 적용, 현대·기아차의 경우 2020년 말까지 자사 모든 승용차와 다용도 차(RV) 모델에 긴급 상황에서 차가 스스로 제동하는 기능, '전방충돌방지보조(FCA)' 장치를 기본 적용할 계획이다.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첨단기술이 상용화됐으나 대부분 옵션으로 적용하면서 차 값이 비싸지는 탓에 소비자가 실제 활용하기에는 아직 장벽이 있다는 지적에 자동차 제조사들이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기본 장착을 늘리고, 생계형으로 쓰이는 상용차의 경우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지원이 있어야 주행안전기술이 실생활로 확산할 수 있을 전망이다.

 

최근 졸음운전과 과속에 따른 대형 인명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이런 참사를 예방하고 운전자와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국내외 자동차업체들의 주행안전기술 개발 경쟁도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소형차에서 최고급 세단에 이르기까지 차급 구분 없이 대부분의 차량으로 확대되는 LDWS와 자동비상제동장치(AEBS) 외에도 차선유지보조시스템(LKA), 전방 충돌방지 보조시스템(FCA), 후측방 충돌 경고 시스템(BCW), 후방 교차충돌 경고(RCCW) 등의 기술이 양산차에 적용 중이다.
 

LKA는 전방 유리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도로 차선 표시를 인식한 뒤 운전자가 방향지시등 조작 없이 차선을 넘어설 경우 스티어링 휠(운전대)을 모터로 조작해 차선 안으로 주행하도록 돕는다.


FCA, BCW, RCCW는 모두 차량 앞, 뒤, 옆에 부착된 센서를 활용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접근 차량이나 물체가 있으면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거나 바퀴를 미세하게 조정해 충돌을 막는 기능을 한다.
 

이 밖에 앞차와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항속·완전 정차·재출발하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과 정상적인 주행상황과 다른 형태가 감지되는 경우 계기판에 이를 알리는 운전자 주의경고 시스템(DAW), 반대편 차선의 차량 불빛을 감지해 상향등을 하향등으로 자동 전환하는 '스마트 하이빔' 등의 기술도 개발됐다.

 

현대·기아차는 경사로에서 정차 후 재출발할 때 차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언덕길 발진 보조장치'와 내리막길에서 일정 속도 이상 가속되지 않도록 해주는 '리타더 다운힐 크루즈' 등의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현대차 유니버스, 기아차 그랜버드 등 대형버스에 기본 적용됐으며 대형트럭 엑시언트에는 옵션 사양으로 운영되고 있다.

올려 0 내려 0
홍성찬 (world6969@hanmail.net) 기자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2017 월드로봇올림피아드 인천대회,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 (2017-08-10 10:12:47)
특허기술상 ,세종대왕상 '동영상 데이터 압축에 사용되는 영상 복호화 장치' (2017-06-22 16:18:21)
경기도교육청, '참공감! 문화...
청주상당경찰서, 구내식당 주...
인천시, 전국 청년 대상으로‘...
인천시, 텀블러 나눠쓰기 캠페...
인천시, 전통문화체험교육관 ...
동행복권, 로또6/45 1122회 1등 ...
인천 중구자원봉사센터 “Total...
현재접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