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18일tue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 사회 > 사회단체/보도자료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인천시, '데이터기반 시민생활안전문제 해결지원을 위한 리빙랩'회의 개최
등록날짜 [ 2018년11월19일 19시09분 ]
[연합시민의소리]인천시(시장 박남춘)는 지난 16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하 KISTI)과 함께 주재하는 '데이터기반 시민생활안전문제 해결지원을 위한 리빙랩'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리빙랩(Living Lab)이란 우리가 살아가는 현장 곳곳을 실험실로 삼아 다양한 사회 문제의 해법을 찾는 시도를 일컫는 말로, 이번 회의는 인천시의 적용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첫걸음이다.

이번 회의는 지난 7월 26일 인천시-KISTI간의 ‘데이터기반의 인천시민 안전과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업무협약’ 후속작업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성지은 박사가 리빙랩 의의 및 인천시 적용방안에 대해 주제발표를 하고 관련분야 전문가들 및 현업부서장 등이 참석하여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주제를 발표한 성지은 박사는 리빙랩의 특징을 ▴사용자 참여형 혁신 ▴과학기술과 ICT기반의 새로운 혁신모델 ▴시민체감형 스마트서비스 구축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을 위한 실험 등으로 꼽았다.

성 박사는 “지금까지 경제성장과 산업경쟁력 강화가 목표였지만 시민의 삶은 양극화와 불평등이 더욱 심해졌다”며 “시민사회, 기업, 정부 등의 다양한 주체들이 리빙랩을 통해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반영하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성공적인 리빙랩을 정착시키기 위한 조언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지자체-시민사회-기업의 협업체계 형성, 단기적·일회성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플랫폼 구축, 똑똑한 사용자의 조직화 및 참여 확대를 제안한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중심기관이었던 KISTI는 인천시와 손을 잡고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최고의 빅데이터 분석역량을 활용하여 시민들의 문제를 분석하고, 삶에 다가가는 연구실증기관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

KISTI는 2020년까지 ▴풍수해(침수) ▴교통문제(혼잡해결, 대중교통편의 증대) ▴지진(피해 분석․예측) ▴감염병(발병 예측․대응) 등 4대 분야에 대한 예측시스템을 개발하고 인천시가 활용하는 협약을 체결하여 추진 중이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김광용 기획조정실장은 “시가 갖고 있는 복잡한 문제에 대해 기존의 인적 네트워크와 ICT 기술 및 시민의 다양한 아이디어로 직접 해법을 찾고, 문제를 해결하는 리빙랩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번 회의를 통해 리빙랩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12월에 시민생활․안전문제 해결을 위한 전국적인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가칭)仁生연구소’(‘인천생활연구소’의 약자)도 심도 있게 구상하여 추진할 예정이다.
올려 0 내려 0
임화순 (limhwaso@hanmail.net) 기자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인천서부교육지원청, 특수교육대상 예비 중학생 학부모 연수 실시 (2018-11-19 19:17:43)
인천시, 한국GM 신차수출물량 타지역항으로 이전철회 합의 (2018-11-19 19:06:17)
인천 미추홀구 문학동, 민원 ...
인천 미추홀구, 다국어 가족관...
강화군, 2024년 상반기 탄소중...
강화군, 볼음도 수리시설 개보...
인천 중구, 신규‘치매극복선...
인천 중구. 무료법률상담관 4...
인천 중구, 여름철 집중호우 ...
현재접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