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연구원 '한국 공교육의 특징과 학생의 삶: 비교사회학적 관점' 발간

입력 2023년03월13일 11시12분 홍성찬
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연합시민의소리]경기도교육연구원(원장 박정일)은 비교사회학적 관점을 통해서 한국 공교육의 특징과 학생의 삶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고, 한국 공교육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국 공교육의 특징과 학생의 삶: 비교사회학적 관점'(연구책임자 김위정 연구위원)을 발간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과 외국(미국, 독일, 핀란드) 양쪽 국가에서 중·고등학교를 다녀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여 두 국가에서 어떠한 삶과 교육 경험을 형성했는지 분석하고, 문헌연구와 통계자료를 통해서 파악한 국가별 거시사회적 맥락과 연결 지어 해석하였다.
 
국가별 면담 결과를 정리하면, 세 국가 공통적으로 수업 차원에서는 한국의 강의식 수업과 구분되는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가 요구되는 수업, 평가 차원에서는 상대평가, 지필고사 등과 구분되는 절대평가와 정답이 없는 문제들, 피드백을 통해 학습을 촉진하는 평가의 양상이 나타나며, 학생들의 학습 방식도 암기와 문제풀이가 아니라 이해와 지식의 적용(수행), 비판적 사고를 강조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학교는 학생들을 평가하고 대학진학을 준비하는 공간이 아니라 다양한 수업과 활동을 통해서 시민으로서 기본 소양을 쌓고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공간이었으며, 학생들은 공부하는 존재로서의 전형성을 벗어나서 다양한 삶의 모습과 가치를 배우고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세 국가와 구분되어, 한국 학생들에게 학교는 “학생을 걸러내는 곳”으로 인식되며, 학생들은 “살아남기 위한 경쟁”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거나 “벗어나고 싶지만” 그럴 수 없는 한계 속에서 대안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다른 한편 이 보고서에서 들려주는 이야기는 중산층 담론이라는 한계가 있고 다수 학생들은 이러한 경쟁구조 밖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삶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한국 학생들의 삶은 공교육이 국가(정치권력)와 시장으로부터 충분한 자율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선발 기능이 강조되는 국가적 맥락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모든 학생들의 삶이 존중되는 학교를 위한 정책과제로 첫째, 교육의 공공가치 회복, 둘째 선발이 아니라 개인의 성장을 지원해주는 교육체제로 개편, 셋째, 사회구조적 차원에서 다양성 속에서 평등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기사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칼럼/기고/사설/논평

홍성찬
홍성찬
홍성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