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종합뉴스] 현대경제연구원이 소비부진과 소득계층별 소비지출 보고서에 따르면 민간 소비는 GDP의 과반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일자리 창출효과(19.0명/10억원)가 매우 주요한것으로. 국내 소비가 증가하면 국내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기업의 고용과 일자리가 늘어나며, 이는 가계소득 증가로 이어져 다시 소비가 증가하는 선순환 구조가 이뤄진다고 밝혔다.
소득계층별로 살펴보면 2012년 고소득층의 월평균 실질가처분소득이 587만 원으로 저소득층의 66만 원에 비해 9배 이상 높은 반면 고소득층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323만 원으로 저소득층 90만 원의 3.6배에 불과하다며 고소득층의 소비가 다른 계층에 비해 부진하다며 지난2006년~2012년까지 가계동향조사자료를 기초로 소득계층별 소비여력을 살펴보고, 고소득층의 소비의 특징과 소비 확대 시 경제효과에 대해 분석했다.
고소득층의 월평균 가처분소득은 2006년 538만 원에서 2012년 587만 원으로 연평균 1.5% 증가했고, 중산층의 월평균 가처분소득은 256만 원에서 279만 원으로 연평균 1.5% 증가했고, 저소득층은 69만 원에서 66만 원으로 연평균 -0.6% 감소했다.
소득 구성별로 고소득층과 중산층은 근로소득이 가장 많이 늘어났고, 중산층은 자영업자의 감소했으며, 저소득층은 근로소득이 감소했다.
중산층은 196만 원에서 206만 원으로 증가했고, 저소득층은 91만 원에서 90만 원으로 감소했다.
한편 계층별 소비여력(가구별 실질 가처분소득 - 소비지출)을 살펴보면, 고소득층의 소비여력은 2006년 월평균 228만 원에서 2012년 264만 원으로 증가했다.
중산층의 소비여력은 59만 원에서 73만 원으로 증가, 저소득층은 월평균 -22만 원에서 -24만 원으로 감소했다.
중산층은 노후준비나 이자비용 등을 고려할 때 추가 소비여력이 미약하고, 저소득층은 소비여력이 전무한 상황인 반면, 고소득층은 소비여력이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며 고소득층의 소비여력 중 10%만 추가 소비 되어도 신규 일자리는 연간 16.8만 명, 국내 GDP는 연평균 약 7.2조 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침체된 내수활성화를 위해 소비여력이 충분한 고소득층의 소비지출 확대를 유도하는 한편, 중·저소득층은 소비여력 확충을 위해 먼저 소득을 증대를 위해 중산층의 경우 소비여력 확대를 위해 좋은 일자리 창출을 확대하고, 자영업자의 소득 여건 개선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과 저소득층은 근로소득 향상을 위한 다양한 일자리를 제공하고, 공적 이전소득을 통해 최소한의 생계를 보전해 주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