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부,국내 연구진, 치매 신경세포 손상 억제 효소 발견

입력 2014년07월28일 07시04분 백수현
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초석을 놓은 것으로 기대

 [여성종합뉴스/최용진기자] 미래창조과학부는 28일 경북대 배재성(의학전문대학원·사진)·진희경(수의학과) 교수팀이 알츠하이머병과 연관된 ‘스핑고지질(세포막을 구성하는 지질로 세포 활성을 조절함)’ 효소 중 뇌 조직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ASM(Acid sphingomyelinase)’ 효소가 알츠하이머병의 원인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신경세포에 이물질이 비정상적으로 쌓여 손상이 생기면서 인지력 장애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정확한 발병 원인이나 근본적인 치료법은 아직 찾지 못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 환자의 혈액에서 정상인보다 ASM 효소가 많은 것을 발견, 증가한 ASM의 활성화를 억제하니 세포 내 이물질 제거과정이 향상되고 신경세포에 독성 물질이 덜 쌓이면서 기억력이 좋아지는 것을 찾아냈다. 배 교수는 “ASM 효소를 조절해 알츠하이머병을 위한 효소 기반 치료법 개발의 초석을 마련했다”며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법 개발을 위한 새로운 표적을 제시하는 연구 결과”라고 말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기사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칼럼/기고/사설/논평

홍성찬
홍성찬
홍성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