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삼척 흥전리사지에서‘대장경(大藏經)’새겨진 통일신라 시대 비조각 발견

입력 2016년10월24일 23시32분 홍성찬
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연합시민의소리]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삼척시(시장 김양호)와 (재)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일감스님)가 진행 중인 ‘삼척 흥전리사지(三陟 興田里寺址)’ 삼층석탑주변유적 발굴조사에서 확인한 ‘대장경(大藏經)’이 새겨진 비조각과 방곽 아궁이를 갖춘 대형 온돌 건물지 등의 조사 성과를 25일 공개한다.
  
2014년부터 ‘중요 폐사지 시·발굴조사 사업’(문화재청)의 하나로 발굴조사 중인 삼척 흥전리사지는 동·서원(東·西院)으로 구성된 대형 산지가람이며, 금당지(金堂址), 탑지(塔址)를 비롯한 주요 시설들이 확인되었다.

이미 발견된 ‘국통’(國統, 신라 시대 불교계 최고 승려)이 새겨진 비조각과 섬세하고 화려한 장식의 금동번(깃발), 통일신라 시대에 제작된 청동정병(靑銅淨甁) 등과 궤를 함께하는 중요 유물들이 출토되어 통일신라 시대 국통과 관계된 위세 높은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난 8월 9일 착수한 이번 조사는 청동정병이 출토된 동원 1호 건물지의 서편과 서원 탑지 주변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주요 유구로는 방곽 아궁이를 갖춘 대형 온돌 건물지와 남북으로 긴 측면 1칸의 건물지 1동, 담장, 지정시설 등을 확인하였다.
  
특히, 흥전리사지에 주석했던 승려에 대한 실마리를 보여주는 ‘당조장대장경이지함(唐朝將大藏經而至咸)~’이 새겨진 비조각과 귀면와(鬼面瓦), 가릉빈가 상수막새 등 통일신라 시대 유물이 다량 출토되었다.

이 유물들은 제작기법이나 조형적인 면에서 매우 완성도가 높아서 신라왕경(경주 지역)에서 장인을 파견하여 제작했을 것이라 판단된다.

지금까지 발견된 비조각들을 통해 흥전리사지에 주석했던 승려는 김씨 성으로 신라왕경의 명문집안 출신으로 추정된다. 그는 당나라에 유학했으며, 당나라 대장경과도 접촉하였고, 국통의 지위까지 올랐던 인물이다.

현존하는 통일신라 시대 비문 중에서 ‘대장경’이 언급된 것은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大安寺寂忍禪師照輪淸淨塔碑) 뿐으로 이번에 출토된 비문 등을 통해 당시 선진문물인 당나라의 대장경에 대한 통일신라 승려들의 접촉과 연구가 지속해서 있어왔음을 짐작할 수 있다. 
  
동원지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통일신라 시대 온돌시설이 확인되어 주목된다.

이번에 조사한 2호 건물지에서는 판석으로 만든 방곽 아궁이와 ㄷ자형 고래 시설을 갖춘 구들이 조사되었다. 2호 건물지의 동편에 위치한 1호 건물지에서도 천석으로 만든 방곽 아궁이를 갖춘 온돌 2기가 확인된 바 있다. 이와 유사한 형태의 온돌유구가 강릉 굴산사지에서도 조사되었으나 고려 시대로 판단하고 있어서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다. 

흥전리사지는 창건 초기부터 폐사까지 기간이 짧은 탓에 유구가 중복되는 등  변형이 적어 통일신라 시대 건물지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5일 오후 1시 발굴현장에서 학술자문회의와 정부3.0 서비스정부 추진가치에 따른 현장 공개를 통해 연구자와 지역 시민들에게 우리 문화재의 중요한 가치를 알리고 연구 자료를 제공하는 등 조사 성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기사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칼럼/기고/사설/논평

홍성찬
홍성찬
홍성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