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시민의소리]인천복지재단(대표이사 유해숙)은 ‘코로나 대응 사례 공유와 포스트 코로나 방향’을 주제로 열린‘포스트 코로나 방안 찾기 연속 토론회’에서 사회복지서비스 형태가 시설 중심에서 비대면·지역사회 중심으로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토론회는 인천시사회복지관협회와 공동으로 준비했으며 지난 8월31일 인천시 남동구 인천사회복지회관에서 열렸다. 행사는 온라인으로만 진행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이선정 인천복지재단 연구위원은‘코로나19와 사회복지관의 복지서비스 및 역할 재정립에 관한 인식조사 결과’를 주제로 한 발제문에서 “인천은 코로나19 이전과 현재를 비교했을 때 방역 지침에 따라 대면 서비스 비중은 줄었으나 비대면 서비스로 전환을 의미하는 대상별 서비스 제공은 확대됐다”며 “서울, 경기에 비해 복지시설 종사자 수는 적으나 설문 조사에 응답한 기관 중 10%가 시설이 아닌 지역으로 들어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또 “서울, 경기와 비교했을 때 지역 복지전달 거점으로서 사회복지시설의 역할은 크게 뒤지지 않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다양한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은 크게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다른 지역에 비해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조직 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하고 스마트복지서비스 활용도와 인식 수준이 높지 않다”며 “공적 원격 시스템 등 ICT 인프라를 구축하고 서비스 변화에 따른 사회복지사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스마트복지서비스는 스마트워크에 기반한 근무환경과 정보통신기술(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을 활용한 복지서비스를 말한다.
인천지역 종합사회복지관 현황을 보면, 시설 수는 모두 20곳으로 한 개 기관이 담당하는 동은 6.5개다. 복지관 한 곳 당 인구수는 경상북도, 경기도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다. 서울과 경기도 종합사회복지관 수는 각각 98곳, 83개로, 한 곳에서 담당하는 동 수는 각각 4.4개, 7.7개다.
‘함께 가야하는 코로나19와 사회복지관의 역할 방향성’을 주제로 발제를 맡은 김용길 인천 세화종합사회복지관 관장은 “비대면 서비스 강화로 찾아가는 서비스, 소규모로 활동이 가능한 지역 내 공간 활용 등 형태가 변화하고 있다”며 “특히 사례관리와 같이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 소규모 모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방역 인증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관장은 또 “코로나19에 따른 ‘복지관 휴관’이라는 표현은 마치 폐쇄한 채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오해와 혼란을 줄 수 있어 ‘위기상황 운영’과 같은 용어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복지재단과 인천시사회복지관협회가 이날 발표한 ‘코로나19와 인천시 사회복지관 운영 사례집’을 보면, 인천지역 20개 종합사회복지관이 올해 초부터 지난 7월까지 진행한 비대면 프로그램은 모두 379개로 기관마다 평균 18.9개 사업을 운영했다.
후원금품지급, 여가문화정서지원활동, 캠페인, 도시락·급식지원 등을 주로 진행했고 안부전화, 정기방역, 주거환경개선, 건강관리활동, 후원금품지원 등 새로운 프로그램도 눈에 띈다.
유해숙 인천복지재단 대표이사는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역 복지를 위해 노력해준 사회복지관이 있어 든든하다”며 “코로나 시기에 사회복지관의 실천은 새로운 위험에 대응한 의미 있는 사례다. 우리 재단도 복지현장과 함께 변화하는 시대에 맞는 사회복지의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데 앞장 서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속 토론회는 9월28일, 10월26일, 11월23일 각기 다른 주제로 시민들을 만난다. 모두 온라인으로 진행한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인천복지재단 홈페이지(www.inwf.kr)에서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