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S Nano’캡쳐
[여성종합뉴스]국내연구팀이 “기존 상용화된 에너지 저장 소재보다 6.5배 성능 향상을 가지면서도 긴 수명(10,000 이상 사이클)을 가지는 새로운 차세대 에너지 저장 소재”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기존에 불가능하게 여겨졌던 금속유기물질을 이용하여 세계 최초로 슈퍼커패시터* 개발에 성공한 사례로써, 금속유기물질이 가진 기능적 다양성을 전기 에너지 저장 물질에 적용하여 더욱 향상된 성능을 가지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개발의 새로운 길을 열었다.
향후 다양한 구조의 금속유기물질 개발과 전기저장 원리 구명을 통해 높은 에너지 밀도, 빠른 충방전 속도 및 영구적 수명을 가지는 전기 저장장치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이브리드인터페이스기반미래소재연구단’(단장 김광호)의 강정구 교수팀(KAIST)과 최경민 박사(KAIST) 연구진 등이 공동협력연구를 통해 수행하였으며,이번 연구결과는 재료과학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ACS Nano’紙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명: Supercapacitors of Nanocrystalline Metal-Organic Frameworks)
기존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슈퍼커패시터)는 빠른 충방전 속도와 긴 수명에도 불구하고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독립적인 에너지 저장장치로 쓰이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탄소나 금속산화물 물질을 표면적이 높은 다공성 물질로 가공하여 저장 가능한 에너지를 높이려는 시도가 계속 되어 왔다.
연구팀은 금속유기구조체를 나노크기로 제작하여 그래핀과 함께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서로 다른 두 물질의 경계면에서 상호작용으로 인해 기존에 없던 새로운 기능 창출) 소재를 구현하여 나노 금속유기구조체를 활용한 고용량·고출력의 슈퍼커패시터 제작에 성공했다.
24 종류의 금속유기구조체를 유기기능기, 금속작용기, 결정크기 및 기공 크기 등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계하고 각각의 물리 및 화학적 요소가 에너지 밀도와 출력특성, 그리고 사이클 특성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최적의 구조를 가지는 금속유기 구조체를 설계·합성하여 기존의 상용화가 되고 있는 탄소물질의 6.5배에 이르는 성능을 가지면서 긴 수명(1만번 이상 사이클)의 장점은 그대로 가지는 에너지 저장소재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번 성과는 고용량의 에너지 재료로서 기대되어져 왔지만 응용이 제한되었던 초다공성 금속유기물질을 사용하여 고용량의 에너지 저장장치를 만든 첫 번째 선례로써, 향후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새로운 금속유기물질 소재의 디자인을 통해서 초고용량 에너지 밀도와 빠른 충·방전 속도 및 영구적 수명을 가지는 새로운 원천소재 개발 및 사용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연구의의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