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시민의소리]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조광래)은 지난2일 「제101차 다목적실용위성개발사업 추진위원회」를 개최하여 ‘06년 7월 발사이후 9년간 지구관측 임무를 수행한 다목적실용위성 2호에 대해 10월부터 임무를 추가 연장하지 않고 수명종료 시까지 연구용 등으로 활용한다고 밝혔다.
다목적 2호는 당초 수명 3년으로 설계되었으나, 고 신뢰도 위성기술의 적용을 통해 발사후 설계수명 3년 이외에 매 2년 마다 3차례의 임무연장(6년)으로 총 9년간 한반도 및 세계 주요지역의 영상 획득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현재, 탑재체 모듈 및 센서, 지상국 운영시스템등 운영기기 노후화로 인해 추가적인 임무연장 없이 수명종료 시까지 차세대 위성기술연구용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다목적 2호는 해외공동개발로 추진된 다목적위성 1호 개발경험을 토대로 ‘99년부터 ’06년까지 총 2,633억원을 투자하여 국내주도 설계, 제작, 조립 및 시험 능력을 확보하는 등 국내독자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 우주산업화의 초석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위성체 설계 및 제작은 항우연과 29개 국내기업의 참여로 수행하였고, 탑재체는 이스라엘 ELOP社와 공동(4년간 20명 파견)으로 개발하였다.
2호 개발을 통해 위성체 설계분야 기술자립도는 91.5%(핵심기술 59건 중 54건 확보), 위성체 부품제작 기술자립도는 65.2%(핵심부품 46개 중, 30개 확보)를 달성하여 우주기술 자립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저궤도 지구관측 위성인 다목적 2호 개발․보유로 인해 우리나라는 세계 7번째로 1m급 고해상도 위성 보유국의 지위를 확보함으로써, 해외 우주선진국과의 위성정보 협조 및 공유의 전략적 기점을 마련하였다.
다목적 2호는 지난 9년 동안 약 46,800회 지구를 선회하며, 약 26,600회 지구와 교신을 통해 운영되었으며, 영상은 약 국내 75,400장, 국외 2,448,300장을 획득하여 국가 영상자산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특히, 획득된 영상들 중 45,350장이 국토관리, 재해․재난 관리, 환경 및 해양오염 분석, 작물재배 및 생산량 분석 등 국민편익 제고를 위한 다양한 공공 및 민간수요에 적극 활용됨으로써, 위성정보 활용가치 증명 및 위성정보기반 신산업 창출 등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내에 활용된 영상 45,350장의 수입대체 효과(2호를 개발하지 않고, 동 영상을 해외에서 수입했을 경우)는 약 5,323억원으로 2호 개발비인 2,633억원의 2배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2007년 6월부터 세계 상용 위성영상 서비스시장에 진출하여 유럽 등 주요국에 영상자료 및 직수신 판매를 통해 약 216억원을 수출하였으며, 위성영상 시장 진입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2011년 7월 국제 재해재난대응 협력 프로그램인 ‘인터내셔널 차터(International Charter)’ 가입을 통해 나이지리아 홍수, 터키 지진 등 해외 재해․재난발생시 피해 저감활동 지원을 위해 인도적 차원의 위성영상 제공으로 국제사회에 기여 및 국가 위상제고에 큰 역할을 하였다.
향후, 다목적 2호는 탑재체 성능 향상 및 궤도변경 기술연구 등 차세대 위성기술 연구개발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며, 국가 안전 및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구관측 임무도 위성 수명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지속할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시스템, 본체, 체계조립 및 시험 등 국내주도로 개발된 다목적 2호는 대한민국 우주기술의 자부심이며, 장기간의 성공적인 운영을 통해 우리나라 위성기술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입증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 함께 운영중인 다목적위성 3호(‘12년5월 발사), 다목적위성 5호(’13년 8월 발사), 다목적위성 3A호(‘15년 3월 발사)와의 공조를 통해 국가 위성정보 활용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민간 활용 및 산업 촉진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