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부평구,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부평나들목 4만3천㎡ 등 새로운 거점' 탄생...

입력 2025년02월10일 12시22분 배향숙
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연합시민의소리/배향숙기자] 부평구(구청장 차준택)가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후 새로운 거점으로 다시 태어날 경인고속도로 주변 지역의 발전계획을 선제적으로 구상한다고 10일 밝혔다. 

 

구는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에 따라 신속하게 주변 지역 활용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구는 지난해부터 진행 중인 '굴포천(소하천) 주변 지구단위계획 수립 용역'의 일부 과업으로 이번 발전계획을 포함시켰다. 

 

대상은 경인고속도로 부평나들목 및 인천요금소 등 지하화 사업 구역과 주변 지역이다.

 

우선 부평나들목 자리의 경우 최대 4만3천㎡ 규모의 가용 부지가 생겨난다. 구는 이 지역이 '부평 경제를 이끌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경인고속도로 인천요금소와 접해있는 삼산농산물도매시장 부지도 새 국면을 맞이한다.

 

이 지역은 부지 면적만 10만㎡에 이르지만 경인고속도로 등으로 인해 건폐율 22% ․ 용적률 34%로 일부만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지하화 사업은 포화된 부평구 도심에 새로운 거점이 태어나는 기회가 될 전망된다. 

 

특히, 경인고속도로 지하화를 통한 개발이 이뤄진다면 부평과 계양, 경기도 부천시 사이의 지역 단절이 해결되고 연결성이 강해지면서 주변 지역 전반에 새로운 활력을 불러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구는 올해 안으로 관련 계획을 마련해 인천시에 전달할 계획이다.

 

차준택 구청장은 "우리 부평구는 구월·계양·부천과 연접한 수도권의 광역거점으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구의 미래를 위한 청사진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경인고속도로 지하화는 우리 구가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큰 기회로, 경인고속도로 주변지역에 대한 계획을 선제적으로 제시해 구민 여러분께 약속드린 더 큰 부평을 보여  드리려는 노력을 계속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인고속도로는 1968년 개통된 우리나라 최초의 고속도로이다. 현재 서인천나들목(IC)을 기점으로 신월 나들목까지 이어지는 13.4㎞ 구간이 고속도로로 활용되고 있다.

 

고속도로 좌우로 3~6m에 달하는 높이의 옹벽과 방음벽은 부평구와 계양구를 남북으로 단절시켜 지역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꼽혀 왔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기사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칼럼/기고/사설/논평

홍성찬
홍성찬
홍성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