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27일thu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 IT.과학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줌닷컴, PC·모바일 이용행태 및 보안인식 조사
소극적인 해킹방어책에만 의존하는 것으로 분석
등록날짜 [ 2014년08월02일 11시46분 ]

[여성종합뉴스] 개방형 검색포털 줌닷컴은 모바일 리서치 업체인 오픈서베이를 통해 지난 7월, 전국 5개 광역시에 거주하는 500명의 인터넷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PC·모바일 이용행태 및 보안인식에 관한 조사'에서 국민 대다수가 인터넷 사용시 해킹의 위험에 대한 불안을 느끼지만, 백신 설치나 정체불명의 URL 클릭 자제 등 소극적인 해킹방어책에만 의존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1일 밝혔다. 
 
조사결과 인터넷 이용자의 75.2%가 인터넷 보안위험을 느끼며, 나이대가 많을수록 인터넷 사용시 해킹의 위험에 대한 불안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서핑 시 보안에 대한 불안함이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는 ▲16세~19세의 경우 61.9% ▲20대가 72% ▲30대가 78% ▲40대가 80.7%였으며 ▲50대는 84.8% ▲60세 이상은 100%로 나이가 들수록 해킹 위험에 대한 불안도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남성의 69.2%, 여성의 81.2%가 해킹 등에 대한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해 여성이 보안에 대한 불안을 더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전 연령층 모두 보안에 대한 실제 불안감에 비해 해킹 방어에는 소극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전 연령층에서 과반수 이상이 보안에 대한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한 것과는 달리, 경찰청의 '파밍캅'과 같은 해킹방지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해킹 피해 보상서비스를 이용하는 등의 적극적인 대비책을 사용하는 경우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이 해킹방지 대비책으로 가장 많이 꼽은 것은 ▲1위가 백신프로그램 사용(56%) ▲2위가 OTP사용하거나 모르는 URL 클릭 자제(26%)였으며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가 8.9%로 3위를 차지했다.
 
반면 ▲경찰청 파밍캅 등 해킹방지 프로그램 사용(5.5%) ▲해킹 피해 보상서비스 가입(3%)등 적극적인 방어 및 구제책을 이용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8.5%에 불과했다. 
 
해킹 방지 조치를 취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는 '모르기 때문'이 1위로 꼽혔다. 응답자의 51.7%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 지 몰라서 보안 무방비 상태에 있다고 답했다. 
 
 

올려 0 내려 0
김형주 (kh4444@navew.com)) 기자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태풍 대비 농작물과 시설물 관리 대책 (2014-08-02 22:54:30)
고용량·긴수명 차세대 에너지 저장 소재 개발 (2014-08-02 09:05:25)
인천병무지청, 10월 입영하는 ...
청주상당서, 상당산성 걷기 힐...
영주시 ‘명예감사관 간담회 ...
인천시의회, 인천시공무원조...
인천 부평구의회, 부평구 다문...
인천TP, 공예품 상품화 지원과...
대한체육회, 회장 선거 대비 ...
현재접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