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24일mon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 IT.과학 > 식물/동물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황해 갯벌의 보전이 시급하다!
등록날짜 [ 2013년11월05일 09시57분 ]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EAAF)제공 [여성종합뉴스/민일녀]  지난달15일부터19일까지 ‘중국의 넓적부리도요’ 네트워크 등 15개국 도요 물떼새 전문가들이 중국 장쑤성의 루둥현 인근의 해안 120 킬로미터를 조사한 결과 넓적부리도요 140마리와 청다리도요 사촌 1,200마리 등 ‘세계적으로 중요한 밀집도’를 보이는 다른 도요·물떼새들도 여러 종도 발견했다.

한때 낙동강 하구, 새만금에서 수백 마리가 발견 되었지만 이제는 그 수가 빠르게 줄어들어 멸종위급종으로 지정된 넓적부리도요는 현재 300마리도 채 남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적으로도 극히 희귀한 철새가 된 것이다.

이 조사 기간동안 기록된 140마리는 1999년 방조제가 닫히기 전 새만금에서 185 마리가 보고된 이후 가장 많은 수이고, 멸종우려종인 청다리도요사촌도 지금까지 관측된 바로는 가장 많은 수가 관측된 것이다.

두 종 (種) 의 새 모두 이동하는 동안 자연적인 생산성이 뛰어나고 건강한 조간대 습지에 의존하는데 황해에 대한 의존도가 특히 높다.

장쑤성 해안은 농업과 산업 개발을 위한 매립으로 여전히 위기에 처해 있다. 하지만 다행히 지방정부와 현(縣)의 당국자들은 이제 이 지역이 국제적으로 가지는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이 달 루둥현에 넓적부리도요를 위한 보호구역 한 군데와 조개류를 보전하기 위한 지역을 몇 군데 지정하였다.

회의에 참석한 ‘새와 생명의 터’ 나일 무어스 대표는 “넓적부리도요는 한국에서 제일 희귀한 철새로 새만금과 연안 지역의 매립으로 여러종의 생물과 함께 개체수가 대량으로 감소하여 올해 우리나라 전역에서20마리 밖에 보지 못했고, 이번 장쑤현 조사에서 이 새들 대부분이 이동 중에 한국에서 날아온 것을 알 수 있었다”며,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갯벌의 매립이 아니라 갯벌의 복원이다. 그렇지 않으면 넓적부리도요라는 이 매력적인 새는 곧 멸종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넓적부리도요 태스크 포스를 지원하고 있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 사무국은 인천지역을 찾아오는 멸종 위기종인 저어새, 검은머리갈매기, 노랑부리백로를 비롯한 33종의 조류에 대한 조사와 서식지 보호활동 등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올려 0 내려 0
민일녀 (lymin000@womannews.net) 기자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인천 계양구 하반기 구제역 정기 예방백신 접종 실시 (2013-11-05 11:37:16)
제주경마공원, '체고 제한' 위해 "동물학대" 논란 (2013-11-02 19:17:36)
경기도교육청, 시도교육청 최...
인천항만공사 인천항, 역대 5...
인천SSG랜더스필드서 국제스케...
인천시, 무더운 여름철 수인...
인천시 시정혁신단, 시내버스 ...
시흥시, 2024년 건강생활지원센...
시흥시 청년협업마을, 인천시 ...
현재접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