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26일wed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 IT.과학 > 모바일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안랩, 최근 스마트폰 문자메시지나 모바일메신저 일명 혹스 가짜 스미싱 주의
등록날짜 [ 2015년06월17일 21시39분 ]

[연합시민의소리] [연합시민의소리]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은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 사이에서 ‘전화를 걸거나 받기만 해도 금전 결제가 된다’는 류의 가짜 메시지 ‘Hoax(혹스)가 ‘신종 스미싱’으로 둔갑해 전파되고 있다며 스마트폰 사용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Hoax는 존재하지 않는 위협에 대한 과도한 경고로 사람의 불안 심리를 자극하는 가짜 메시지이다. ‘행운의 편지’류와 같이 장난으로 그치는 경우도 있으나, 심한 경우 사회적 혼란과 지나친 공포분위기를 조성하기도 한다. ​
 

스미싱과 Hoax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악성코드 설치 여부이다. 스미싱의 경우, 문자메시지/SNS 메시지 등에 URL을 포함시키고, 이 URL을 실행을 유도해 악성코드를 설치 시도한다. 하지만 Hoax의 경우, 발생하지 않은 위협에 대해 불안감을 조성하는 가짜 경고를 보내는 것이 대부분이며 악성코드 설치를 유도하지 않는다.
 

따라서, 악성 URL이 없고, 스미싱에서 발생 가능한 금전 피해 등은 없이 심리적인 불안감만 조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파형태도 스미싱은 공격자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유포하거나 감염된 스마트폰에서 사용자 모르게 자동 발신되는 반면, Hoax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스로 이를 전파시킨다는 차이도 있다. 하지만 두 경우 모두 믿을만한 기관이나 인물, 서비스를 사칭한다는 점에서는 유사한 점도 있다.
 
최근 스마트폰 문자 메시지나 메시징 서비스로 퍼지는 ‘Hoax’ 메시지의 주 내용은 ‘주차 관련 욕설 문자를 받고 해당 번호로 전화를 걸기만 하면 125만원이 결제된다’, ‘배우자 관련 욕설 문자를 받고 전화를 걸면 결제가 된다’, ‘특정 번호로 온 전화를 받으면 125만원이 결제된다’, ‘설문 관련 전화를 받고 번호를 누르면 바로 소액이 결제된다’등의 내용이다.
 

안랩은 “Hoax는 1980년대부터 PC 환경에서 먼저 시작되었으며, 그 내용도 ‘특정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PC가 불탄다’나 유명 보안기업을 사칭해 ‘치료불능 바이러스가 돌고 있으니 친구에게 알리라’는 등 내용도 다양하다”고 말했다. 
 

Hoax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위협을 조심하라는 류의 메시지를 받았을 때는 주변인에 무조건 전파하기 전에, 메시지 내용의 출처를 검색 등으로 확인하거나 KISA(인터넷진흥원) 등 관련 기관에 사실여부를 문의하는 것이 좋다.

 

올려 0 내려 0
홍숙자 (vjvlvjvl@hanmail.net) 기자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진중권 트위터 '깨갱' 꼬리 내릴 만도...불쌍하지만 이해는 갑니다' (2015-06-27 10:22:47)
미국, 사회관계망서비스 최초 제기된 애플 아이폰 문자 버그 논란 (2015-05-29 14:02:04)
영주시 ‘명예감사관 간담회 ...
인천시의회, 인천시공무원조...
인천 부평구의회, 부평구 다문...
인천TP, 공예품 상품화 지원과...
대한체육회, 회장 선거 대비 ...
인천시, 전국 특광역시와 상수...
인천시, 농협은행인천본부와 ...
현재접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