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29일sat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 칼럼/기고/사설/논평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독자기고-행복한 대한민국의 시작과 끝
등록날짜 [ 2017년04월11일 23시01분 ]

[연합시민의소리/인천 남구선관위 지도담당관 이웅용]최근 들어 선거관리위원회는 매력적인 슬로건을 사용하고 있다.
 
‘아름다운 선거, 행복한 대한민국’이 바로 그것이다.  요새말로 하자면 정말 심쿵하는 글귀다. 잘 치른 선거가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 수 있다는 사고는 국민의 눈과 귀를 솔깃하게 만든다. 더욱이 권력을 얻기 위한 정치적 투쟁의 정중앙에 놓여 있는 선거를 아름답다고 하니 더더욱 역설적이다.

사실, 선거가 우리 인간사 전부를 행복하게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선거를 통하여 국민의 신뢰를 받는 정치인들이 지도자가 되어 국민을 위해 각종 제도와 정책을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대다수가 호응하는 사회구조나 정치적 생활형태가 형성될 때, 그리고 이 같은 결과가 선거를 통해 다시 평가받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질 때 선거와 정치는 당연히 국민들을 행복하게 할 것이다. 결국 아름다운 선거와 행복한 대한민국은 정치권과 국민 간 계속된 노력과 학습을 통해서만이 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선거가 때가 되면 후보자들은 국민에게 크게 3종류의 인간으로 비춰지는 것 같다. 좋은 후보, 나쁜 후보, 이상한 후보가 그것이다. 마치 김지운 감독의 영화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2008)’을 연상케 한다.

내가 찍고 싶은 후보는 좋은 사람, 그를 욕하는 후보는 나쁜 사람이 된다. 그 외의 후보는 관심조차 없는 그저 이상한 후보일 뿐이다.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이라고 했던가? 지연, 학연 등 연고가 있다면 그 후보는 무조건 좋다. TV토론이든 인터뷰든 신문기사든 후보자를 검증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가 있건만, 아무리 봐도 내가 좋은 후보자의 말만 귀에 쏙쏙 들어온다.

나쁜 후보가 하는 말은 무조건 마음에 안든다. 가짜뉴스는 좋은 후보는 더 좋게, 나쁜 후보는 더 나쁜 후보로 확신시겨 주는 훌륭한 정보로 탈바꿈된다. 그 내용의 진위에는 관심이 없고 말이다. 이쯤되면 정책이나 정견을 꼼꼼히 비교․판단해보는 침착함과 합리적 사고는 의식에서 멀어져 간다.

합리적 사고와 멀어질 때 후보자를 바라보는 예리한 안목도 사라지게 된다. 더 무서운 것은 주권자로서 시민의식은 사라지고 후진적 선거문화는 좀비(Zombi)처럼 확산된다.

필자는 우리 사회에 만연했던 선거관행을 이렇게 정의내리고 싶다. 물론 갈수록 선거문화가 성숙해지고 있음을 부인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서 조차 좀비처럼 투표해서는 안된다는 생각에서 이렇게 부연에 부연을 거듭하는 것이다.

후보자들의 구체적인 정책의 실상과 허구를 찾아내기 위해서라도, 그리고 행복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라도 국민들은 정치와 사회를 바라보는 기준, 혹은 규범을 머릿속에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준과 규범은 건전한 시민의식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그러한 시민의식은 선거를 아름답게 만들 수 있다.

선거 때만 되며 ‘정책선거하자’고들 하지만, 사실 정책선거가 가능한 배경을 이루는 것은 바로 건전한 시민의식을 토대로 선거에서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관행이 선행되어야 함은 다언을 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번 선거만큼은 학연․지연․혈연 등 편견과 독선은 우리 머리 속에서 지워보자. 사회 대다수가 공감하는 가치와 규범에 따라 후보자를 선택한다면, 적어도 (성공은 몰라도) 실패는 없다. 자유와 평등, 공정한 기회의 부여, 인간의 존엄, 청렴, 안전 등 사회의 바람직한 가치를 그 기준으로 두고, 과연 후보자가 이러한 덕목을 갖추고 있는지 꼼꼼히 살펴보자.

이제 대통령선거 후보자 등록을 시작으로 선거시즌(Season)이 시작된다.

그리고 투표를 통해 시즌은 마감된다. 선거(투표)가 우리사회의 갈등을 하루아침에 해결해 주는 만병통치약이 될 수는 없겠지만, 해결의 시작이자 끝이 될 수 있다.

느끼한 군내를 잡아주는 향신료처럼 말이다. 선거야 말로 주권자의 의사표현이자 우리의 희망이 담겨져 있는 소중한 메시지다.

소위 희망 없이 투표소를 찾아오는 유권자는 없다. 그 희망 속에는 잘 먹고 잘 살게 해달라는 현실적 요구뿐만 아니라 건전한 시민의식와 도덕적 가치를 신뢰하는 토대에서 자유를 향유하며 불합리하게 차별받지 않는 사회를 꿈꾸는 유권자의 이상적 요구도 간절하게 담겨져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제부터 후보자의 됨됨이를 꼼꼼히 살펴보자, 정책과 공약을 비교도 해보고, 그 후보자의 정신세계에는 무엇이 채워져 있는지 좀 더 면밀한 철학적인 고민을 해보자.

선거가 행복정치를 위한 알파(α)요, 오메가(Ω)가 되도록 말이다.

올려 0 내려 0
홍성찬 (world6969@hanmail.net) 기자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독자기고-반려견과 화재감지기 (2017-04-17 13:31:14)
독자기고-화재예방 이미지 트레이닝 (2017-04-11 22:42:54)
인천병무지청, 2025년도 입영대...
경기도교육청국제교육원, IB ...
봉화군의회, 제9대 후반기 의...
봉화군, 수원특례시와 우호결...
인천시-시의회, 영흥면 찾아 ...
인천 동구 고향사랑기부제, 릴...
인천 동구,‘2024 관광사진 공...
현재접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