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29일sat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 IT.과학 > 인터넷/컴퓨터/게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게임기업 ‘빅4’ 모두 성남시 판교로.. 연매출 4조원대
대한민국 게임실리콘밸리는 어디?
등록날짜 [ 2013년06월11일 09시37분 ]

[여성종합뉴스/ 김형주기자] 성남 판교 신도시가 대한민국 게임콘텐츠산업의 미래를 좌우할 ‘게임 실리콘밸리’로 급부상하고 있다.

국내 게임업계 빅4인 넥슨, 엔씨소프트, 한게임(NHN엔터테인먼트), 네오위즈게임즈가 모두 올해 안에 판교로 이전한다.

임직원 수가 1천명에 이르는 위메이드, 스마일게이트, 웹젠, 게임하이, 엑스엘게임즈, 아프리카TV, 블루홀스튜디오 등 중견 게임사들은 이미 판교 입주를 완료한 상태이다.

게다가 게임·소프트웨어(SW) 교육장인 NHN넥스트, ‘카카오톡’으로 유명한 카카오, ‘뽀로로’를 개발한 오콘, ‘애니팡’ 개발사 선데이토즈, 골프게임 ‘샷 온라인’ 개발사 온네트, 3D 영화 ‘넛잡’ 개발사 레드로버 등 150개 이상의 콘텐츠 연관 기업이 판교, 분당에 입주했다.

게임콘텐츠 기업들이 성남으로 몰리는 이유는 분당 문화산업진흥지구, 판교 테크노밸리 개발과 맞물려 강남 대비 저렴한 지가와 임대료, 우수한 접근성과 주거, 교육, 쾌적한 환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대중소기업이 다양하게 포진하면서 집적이 집적을 부르는 플러스(+)알파의 효과도 작용하고 있다.

성남시 차원에서 ‘게임 실리콘밸리’ 육성정책을 펼치고 있는 점도 게임기업 집적화의 강한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는 네이버와 한게임을 운영해온 NHN을 지난 2005년 분당 정자동에 유치한 것을 시작으로 2009년 문화부의 국책사업인 글로벌게임허브센터 유치, 2011년 모바일 게임센터 유치 등 50여 개의 유망 게임개발사를 유치했다.

기업 지원 사업도 활발하다.

매년 게임개발 지원, 펀드 지원, 해외전시회 참가 지원, 국제 페스티벌 개최 등 게임기업 성장 인프라를 조성한다. 

이 같은 행·재정적 지원으로 성남시 게임기업의 연매출 규모는 4조원대로 국내 게임사 전체 매출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종사자 수도 1만여명에 육박한다.

이는 게임콘텐츠 분야가 장치형 산업이 아닌 고급 인력 중심의 창조형 개발사업이자 내수와 수출이 모두 가능한 글로벌 산업이기에 가능한 일이다.

성남시는 앞으로 3만명 이상의 게임사 인력이 대거 포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는 판교의 비즈니스 환경 개선을 위해 무료 주차부지 추가 개방, 대중교통 노선 추가 배치, 전문 인프라 지원, 우수 콘텐츠 개발 지원, 대중소 협력생태계 조성 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이와 함께 청소년들의 게임 과몰입이나 세대간 갈등 등의 부작용을 줄여나가기 위해 민관 협동의 건전 게임이용 문화 확산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


문의: 기업지원과 첨단산업팀 김인규 729-2653, 010-5292-6353

 

올려 0 내려 0
김형주 (kh4444@naver.com) 기자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한국인터넷진흥원, IT 혜택을 받지 못하는 소외계층이 인터넷을 원활히 사용할 수 있도록 ... (2013-06-14 15:30:37)
인터넷진흥원, 2013년 양방향 방송프로그램 제작지원 대상 사업자 선정 (2013-05-23 14:22:09)
인천병무지청, 2025년도 입영대...
경기도교육청국제교육원, IB ...
봉화군의회, 제9대 후반기 의...
봉화군, 수원특례시와 우호결...
인천시-시의회, 영흥면 찾아 ...
인천 동구 고향사랑기부제, 릴...
인천 동구,‘2024 관광사진 공...
현재접속자